※ 본 커리큘럼은 제6기 도시재생대학교의 커리큘럼으로서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구분 | 강의내용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개강식 | 소개 | 도시재생대학교 소개 및 오리엔테이션 | 8.25 |
강의 | (특강1) "창의적인 생각" 이종현 대표(653예술상회) |
||
1주 | 팀별수업 | 팀별 오리엔테이션 대상지(대상목표) 둘러보기 |
8.27~9.2 |
2주 | 팀별수업 | 대상지(대상목표) 현황 파악 및 분석 잠재자원 발굴 |
9.3~9.9 |
3주 | 팀별수업 | ① 팀별 목표설정 ② 아이템 발굴 ③ 전략설정 |
9.10~9.16 |
4주 | 팀별수업 | 우수선진지 벤치마킹 논의 중간 사업계획 정리 |
9.17~9.23 |
열린특강 | 강의 | (문화경관대학)"주민과 함께하는 경관협정 만들기 이유직 교수(부산대학교 조경학과) |
10.8 |
(공동체활성화대학)"할 수 있는 일상 속 작은 실천" 김승수 관장(똑똑도서관) |
10.12 | ||
(상권활성화대학)"주민참여 상권재생 현장의 경험" 오형은 대표(지역활성화센터) |
10.13 | ||
5주 | 팀별수업 | 세부사업 도출 실행계획 설정 |
9.24~9.30 |
6주 | 팀별수업 | 가 예산계획 수립 공모사업 연계방안 모색 |
10.1~10.7 |
7주 | 팀별수업 | 팀별 토론 후 사업계획 종합 점검 | 10.8~10.14 |
8주 | 팀별수업 | 마스터플랜 작성 주민발의 제안서(최종발표 자료) 작성 |
10.15~10.21 |
수료식 | 최종발표 | 팀별 최종발표 실시 각 팀에 대한 품평회 및 수료식 실시 |
10.29 |
선진지답사 | 도시재생 사례 답사 각 팀별 특성에 맞도록 시간/장소 답사지 선정 |
운영기간 중 1회 |
분야 | 성명 | 소속 |
---|---|---|
도시재생 | 백기영 | 유원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 |
손세원 | 충청대학교 부동산지적과 교수 | |
이민화 | (사)주민참여도시만들기연구원 연구사업본부장 | |
도시계획 | 강호원 |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|
박종광 | KPA행복도시 기획조정단 책임연구위원 | |
정대영 | 충남도립대학교 토지행정학과 교수 |
|
건축 | 강인호 | 한남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|
박인희 |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| |
신병윤 |
동의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|
|
오광석 |
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교수 |
|
공동체 | 변강훈 | (사)마을공동체연대 마을살림 대표 |
이충한 | 평리문화마을만들기협의체 위원장 |
|
진영효 | 두리공간연구소 소장 | |
다문화 | 하미용 | 세종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 |
환경생태 | 박창재 | 환경운동연합 중앙 사무처장 |
도시디자인 | 길경희 | 제이케이가든디자인 대표 |
권영랑 |
㈜예감창 대표 |
|
최정윤 | UDI대표 | |
마을경제 | 권지훈 |
마을과 복지연구소 이사장 |
윤은실 |
(사)전의를디자인하는사람들 대표 |
|
하덕천 | ㈜거름 대표 | |
퍼실리테이션 |
김성주 |
㈜도시건축 이레 |
문화예술 | 유현민 |
소제창작촌 프로그램 디렉터 |
이종현 | 653예술상회 대표 | |
홍의택 |
가천대학교 미술·디자인학부 교수 |
|
안남일 | 고려대학교 문화창의학부 교수 | |
이경선 | LAB00 대표 | |
황준태 |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 교수 | |
농촌 | 김정연 |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중앙계획지원단 단장 |
오형은 | 지역활성화센터 대표 | |
행정 | 김상봉 | 고려대학교 공공행정학부 교수 |
박영수 | 세종시 조치원발전위원회 위원장 | |
홍종선 | 세종시 청춘조치원과 사무관 |
※ 팀별 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교수진 상시 지원